Prof. Chang
장원섭 장인성연구네트워크 이사장(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University of lowa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97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하였고, 2001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는 대통령자문 새 교육 공동체위원회 전문위원,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방문연구원, 2007년부터 2008년까지 University of Illinois(Urbana-Champaign)에서 방문 교수를 지냈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장인성연구네트워크(JRN) 이사장, 한국산업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1. 학력사항
1996년 University of Iowa 교육학과 (Ph.D.)
1991년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석사)
1989년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문학사)
2. 경력사항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01.9-현재)
한국산업교육학회 회장 (2017.9-현재)
장인성연구네트워크(JRN) 이사장 (2017.3-현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적자원개발전공 주임교수 (2010.9-현재)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 (2012.9-2014.8)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학부장 (2009.3-2011.2)
University of Illinois-Urbana-Champaign, Visiting Professor (2007.9-2008.8)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원장 (2004.9-2007.8)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학부장 (2002.9-2004.8)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Visiting Researcher (2000.12-2001.3)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전문위원 (1999.3-2000.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책임연구원 (1997.10-2001.8)
3. 전공 및 관심분야
교육과 일, 일터학습, 평생학습, 진로 및 직업교육, 장인의 일과 배움
4. 주요저서
5. 저서
발행년도 | 저 서 명 | 출 판 사 | 비 고 |
---|---|---|---|
2018 | 다시 장인이다 | 영인미디어 | 단독 |
2017 | 교육과 일: 사회학적 접근 | 박영스토리 | 공동 |
2017 |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공동 |
2015 | 장인의 탄생 | 학지사 | 단독 |
2015 |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실천 (2판) | 학지사 | 단독 |
2015 | 일터학습: 함께 배우기 (2판) | 교문사 | 공동 |
2014 | 팀의 해체와 놋워킹 | 학이시습 | 공동(역서) |
2012 | 일터학습: 함께 배우기 | 럭스미디어 | 공동 |
2011 |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실천 | 학지사 | 단독 |
2010 | Theories, Policy,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in East Asia | Routledge | 공동 |
2007 | 교육과 일 | 원미사 | 공동(역서) |
2006 | 일의 교육학 | 학지사 | 단독 |
2003 | 인적자원개발론 | 학지사 | 단독(역서) |
2000 | 고학력 실업자 인력개발 정책 | 교육과학사 | 공동 |
1998 | 앤드라고지: 현실과 가능성 | 학지사 | 공동 |
1997 | 한국성인인력개조론 | 학지사 | 공동 |
1997 | 교육과 일의 사회학 | 학지사 | 단독 |
1997 | 교육과 일의 사회학 | 학지사 | 단독 |
6. 논문
논 문 제 목 | 게재연도 | 학술지명 | 역할 |
---|---|---|---|
지식근로자의 경력개발과 이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2017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중장년층 직업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 만족도가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7 | 미래교육학사회 | 교신(2인공동) |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체계와 모순에 대한 연구 | 2017 | 평생학습사회 | 교신(2인공동) |
일의 의미 인식이 경력지향성과 경력개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내 K항공사 객실승무원에 대한 분석 | 2017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4년제 일반대학 취업준비생의취업스터디를 통한 경력개발에 대한 질적 연구 | 2017 | 진로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Developing ‘masterity’: the ‘habitus’ of lifelong learning | 2017 |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 책임(2인공동) |
대졸 초기경력자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개발지원 관계망 특성을 매개로 개발지원 기능에 미치는 영향 | 2014 | 한국HRD연구 | 교신(2인공동) |
다양한 경력구성 사례를 통한 새로운 일의 교육적 의미 탐구 | 2014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교신(5인공동) |
주중 한국기업에서 근무하는 중국인 근로자의 한국인 근로자와의 관계 맺음을 통한 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 | 2014 | 기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특성화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 2014 | 진로교육연구 | 책임(5인공동) |
진로지원과 진로탐색행동이 고졸 청년층의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 2014 | 산업교육연구 | 교신(4인공동) |
EBS 콘텐츠 연구동향 분석 | 2013 | 미디어와 교육 | 책임(4인공동) |
독립근로자의 경력개발 의미와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2013 | HRD 연구 | 교신(2인공동) |
고숙련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일터에서의 성장과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2013 | 직업교육연구 | 교신(3인공동) |
명장(明匠)의 길: 우연에서 필연으로 | 2013 | 진로교육연구 | 책임(2인공동) |
전통 수공업 장인의 학습 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2013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대학생 경영컨설팅 인턴의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2013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멘토링 기능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2013 | HRD연구 | 교신(3인공동) |
성별과 학력이 개발지원관계망 특성을 매개로 개발지원 기능에 미치는 영향 | 2012 | HRD연구 | 교신(2인공동) |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 교육학적 관계론 | 2011 | 배움학연구 | 단독 |
일터에서의 지식창출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활동이론을 통한 P사 S팀의 사례 분석 | 2011 | Andragogy Today | 공동(2인) |
개발지원 관계망 특성이 조직사회화의 학습 및 태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2011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조직사회화의 학습 결과에 대한 개발지원관계망 특성과 조직 요인 효과 | 2010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기업 내 공식적, 비공식적 멘토링 유형에 따른 멘토와 멘티의 관계적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2010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CoP 참여 유형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 2010 | 산업교육연구 | 책임(4인공동) |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0 | 직업교육연구 | 교신(2인공동) |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2010 | 여성연구 | 공동(3인) |
성인의 함께 배우기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공동육아에 참여한 부모들의 공동체적 학습과정을 중심으로 | 2010 | Andragogy Today | 책임(5인공동) |
기업의 팀학습 변천 과정에 대한 문화역사적 분석: L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2010 | Andragogy Today | 책임(5인공동) |
초기 경력자의 멘토링 기능에 대한 멘토링 관계망 특성과 조직 요인 효과 | 2009 | 직업능력개발연구 | 교신(2인공동) |
실행공동체 공식화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 2009 | 직업교육연구 | 책임(3인공동) |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the early careers of South Korean IT employees | 2009 |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 공동(3인) |
Learning through working: a case stud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 2009 |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 교신(2인공동) |
지역 평생학습 파트너십의 다양성 | 2008 | 미래교육연구 | 책임(5인공동) |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평생교육 개념 이해에 대한 질적 면접 연구 | 2008 | Andragogy Today | 단독 |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 2008 | Andragogy Today | 공동(2인) |
멘토링이 조직의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08 | 직업교육연구 | 책임(3인공동) |
대졸 여성 초기경력자의 일터에서의 대인 관계가 조직 내 학습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08 | 직업교육연구 | 책임(2인공동) |
Government driven partnership for lifelong learning in Korea: a case study of four cities | 2008 |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 책임(2인공동) |
기업의 교육이수학점제 사례분석 | 2007 | 산업교육연구 | 단독 |
맥락중심의 평생 진로교육 제안 | 2007 | 진로교육연구 | 단독 |
고용형태에 따른 초기경력자의 학습과 적응 방식의 차이 연구 | 2007 | 직업능력개발연구 | 책임(2인공동) |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2007 | 직업교육연구 | 책임(4인공동) |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 평가지표에 대한 분석 및 분류 연구 | 2007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공동(4인) |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요인들과 심리사회적, 구조적, 학습경험적 요인들 간의 정준상관 분석연구 | 2007 | 한국교육 | 공동(3인) |
EU의 평생학습 정책 담론 분석 | 2005 | 한국교육 | 단독 |
팔로어십 유형과 조직몰입간의 상관성 연구 | 2005 | 산업교육연구 | 공동(2인) |
기업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훈련에서 학습으로, 그리고 성과에서 가치로 | 2005 | 직업교육연구 | 책임(2인공동) |
대학졸업자의 전문대학으로의 재입학 현상 연구 | 2004 | 직업교육연구 | 단독 |
대학생의 노동시장 준비행동 변화에 대한 탐색 | 2004 | 직업교육연구 | 단독 |
Hiring and Training in Korean Establishments: Do Employers Substitute Making for Buying? | 2003 |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Work Vol. 12: The Sociology of Job Training | 단독 |
평생학습지원체제로서 사회학습망의 제안 | 2003 | Andragogy Today | 단독 |
Market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the Transition form School to Work for Vocational Secondary Graduates | 2002 | 직업교육연구 | 책임(2인공동) |
일의 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대학생 멘토링 요구 조사 | 2002 | 연세교육연구 | 책임(4인공동) |
인력개발의 관점에서 본 교육대학원의 역할: HRD전문가 양성기능을 중심으로 | 2002 | 연세교육과학 | 단독 |
중․고등학생 시간제 취업 경험의 의미 | 2001 | 직업교육연구 | 단독 |
저학력․저능력 계층을 위한 성인인적자원개발 방안 | 2001 | 평생교육연구 | 공동 |
해방적 직업교육을 위한 제언 | 2001 | 교육사회학연구 | 단독 |
성인의 직업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0 | 직업능력개발연구 | 단독 |
고학력 실업자 구제를 위한 인력개발정책에 대한 한․미 비교 연구 | 2000 | Andragogy Today | 공동 |
시간제 취업이 고등학생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1999 | 직업능력개발연구 | 단독 |
테스트의 사회적 의미 | 1999 | 교육사회학연구 | 단독 |
포스트모던시대의 직업교육의 재개념화 | 1999 | Andragody Today | 단독 |
대학졸업자의 구직활동과 노동시장에서의 성공 | 1997 | 교육사회학연구 | 단독 |
조직의 특성과 직원고용경로 | 1996 | 연세교육연구 | 단독 |
7. 학술활동
일자 | 대회명 | 주제 |
---|---|---|
2017.12.23 | 4차산업혁명과 평생학습시대: 한국 교육의 재구조화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직업교육 방향 |
2017.11.24 | 2017 HRD 한국연합학술대회 | 종합토론 |
2017.06.09 | 2017년 (사)한국인력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 오래된 미래를 향한 HRD: 장인으로부터 배우다 |
2017.05.31 | 2017 한국산업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 종합토론 |
2017.04.20 |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의 변화 | 오래된 미래를 향한 인재양성 |
2016.11.19 | 제8회한일학술교류 연구대회 | 現代職人の仕事と?び(현대 장인의 일과 배움) |
2016.11.11 | 2016 한국HRD연합 학술대회 | 종합토론 |
2016.06.22 | 2016 세계평생학습포럼 | 평생학습의 아비투스 |
2015.12.05 | 2015 한국HRD연합 학술대회 | 장인의 일과 배움 이야기 |
2015.11.06 | 제9회 시흥시 평생학습축제 2015 전국평생학습실천대회 |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 |
2015.10.16 | 2015년 한국평생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 평생교육학연구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연구했는가? |
2014.12.06 | 2014 WEST 프로그램 5주년 기념 심포지엄 | WEST 프로그램과 글로벌 역량 |
2014.11.17 | 2014년 특별교부금 국가시책사업 평가 결과 설명회 | 신규 마이스터고 지원 외 |
2014.05.30 | 2014년 (사)한국인력개발학회 정기 춘계학술대회 | 개발지원 기능에 대한 개발지원 관계망의 성별 효과 |
2014.05.22 | Symposium on Teaching and Learning in East Asian Research Universities | Korean College Students’ Learning through Working |
2013.11.15 | 창조경제시대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세미나 | 맥락 중심의 평생진로교육 |
2013.11.07 | HRD 컨설팅 & 프로그램 페스티벌 | 일터학습의 방향과 전망 :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 |
2012.10.19 | 제9회 부천시 평생학습 심포지엄 | 지역평생학습 파트너십 |
2012.01.26 | 교육연구담당자 월례미팅 | 2012, 국내기업 HRD Issue와 Agenda |
2011.12.03 | 2011 인적자원개발 컨퍼런스 | 인적자원개발 의미와 전문가 역할 |
2008.02.20 | 2008 AHRD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IN THE AMERICAS | IMPACTS OF COP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THE EARLY CAREER |
2007.11.02 | THE 6TH ASIAN CONFERENCE OF AHRD(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LEARNING THROUGH STUDYING ABROAD AND INTERNATIONAL WORK EXPERIENCES-THE CASE STUDY OF CHINESE STUDEN |
2007.07.06 | 과천문화예술센터 포럼 | 과천시 평생학습의 전망 : 문화예술분야를 중심으로 |
2007.06.27 |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RD RESEARCH AND PRACTICE ACROSS EUROPE |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 IN KOREAN CITIES : ITS GOVERNMENTAL DEPENDENCY |
2007.05.14 | 이제는 진로교육이다 | 컨텍스트중심의 평생진로교육 제안 |
2006.10.20 | 제4차 평생교육포럼 | 지역평생학습 파트너십의 국내사례 분석 |
2006.07.04 | 제1회인적자본기업패널학술대회 | 관계를 통한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03.10.14 | 청년실업해소 토론회 | 포스트 산업사회에서 대학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전략 |
2003.09.30 | 기업의 교육성과 제고를 위한 EPS FORUM (2003 PART2 : PERFORMANCE MEASURE) | THE FUTURE OF PERFORMANCE MEASUREMENT |
2003.05.29 |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인적자원개발 방향 |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학교교육개선방안 |
2003.04.25 | 청년실업연구 : 미시적, 거시적 접근의 통합 | 대학생의 노동시장 준비 행동 분석 |
2002.05.21 | 대학에서의 평생교육 | 대학의 평생교육 현황과 발전 과제 |
2002.02.28 | 제 11차 HRD 정책포럼 ”대학생의 직업능력개발 지원대책” | 대학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 방안 |
2001.12.14 | 청소년 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지원을 위한 토론회 ”신 성공시대 나는 일도 하고 싶다” | 직업체험의 교육적 의미 – 청소년의 시간제 취업을 중심으로 |
2001.11.26 |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새로운 역할 | 인력개발의 관점에서 본 교육대학원의 역할 – HRD 전문가 양성 기능을 중심으로 |
2001.04.01 | 2001년도 제1회 전국 대학(교) 취업지도자 세미나 | 기업의 채용 기준과 취업 지도 방안 |
2001.04.01 | AERA ANNUAL CONFERENCE | MARKET AND INSTITUTIONAL IN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OR VOCATIONAL SECONDARY GRADUATES IN |
2001.01.30 | 청소년 아르바이트 업무 담당 직원 연수 | 진로교육으로서 아르바이트 및 직업체험 |
2000.10.13 | 청소년 아르바이트, 소비욕구의 분출인가? 일할 권리의 실현인가! –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와 지원방안 모색 | 청소년 시간제 취업의 진단과 대책 |
2000.01.01 | 한국청소년학회 제19회 21세기 포럼 | 청소년 고용 및 실업의 현황과 과제 |
8. 주요 연구프로젝트
역할 | 연구과제명 | 지원기관 | 연구기간 |
---|---|---|---|
책임 | Inbound-WEST 추진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용역 | 국립국제교육원 | 2017. 6 – 2017. 8 |
책임 | 한, 미 대학생 연수(WEST) 프로그램 성과평가 및 사후관리방안 정책연구 | 국립국제교육원 | 2016. 8 – 2016. 12 |
책임 |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 요인에 대한 연구: 경력네트워크와 경력 성공 | 한국연구재단 | 2015. 11 – 2016. 10 |
책임 | WEST 프로그램 확대 및 운영 내실화 방안 | 국립국제교육원 | 2015. 9 – 2015. 12 |
공동 | 청년층 고용확대를 위한 직무역량 중심 채용시스템 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5. 6 – 2015. 12 |
공동 | 명장 보유 전수기술 채록 방안 및 시범 적용 사례 개발 | 글로벌 숙련기술진흥원 | 2014. 10 – 2015. 1 |
공동 | 인적자원정책 인프라 진단 및 정비 방안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4. 1 – 2014. 12 |
책임 | 자율형 공립고 평가지표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교육청 | 2013. 6 – 2013. 12 |
책임 | 2013년 노사관계교육사업 사후평가 | 노사발전재단 | 2013. 4 – 2013. 12 |
책임 | E-Learning 환경 구축을 위한 중장기 연구 | LGU+ | 2013. 4 – 2014. 1 |
책임 | 2012년 노사상생협력교육사업 사후평가 | 노사발전재단 | 2012. 11 – 2012. 12 |
책임 | 정부해외인턴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정책 연구 | 국립국제교육원 | 2012. 9 – 2012. 12 |
책임 | 장인의 일과 학습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2. 6 – 2014. 5 |
공동 | 2011년도 정부해외인턴사업 성과평가 | 교육과학기술부 | 2012. 6 |
공동 | APEC 회원국 교육협력 진흥방안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 2011. 12 – 2012. 2 |
책임 | 중소기업 단기직무능력향상(JUMP) 지원 사업 성과 분석 연구 | 한국HRD기업협회/ 한국산업인력공단 | 2010 |
공동 |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0 |
책임 | 대학원생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성과 분석 | 한국연구재단 | 2009 |
책임 | 대졸 청년층 직장생활 적응능력 향상 연구 | 한국고용정보원 | 2007 |
책임 | 예비평생학습도시 컨설팅 최종보고서: 과천시 | 한국교육개발원 | 2007 |
책임 | 국가인적자원개발 사업평가를 위한 BSC기반 ROI분석 시스템 개발 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7 |
공동 | 고등교육기관을 활용한 고학력 경력차단 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공동 | 학교-일터/일터-학교 연계 활성화 방안 |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책임 | 지역평생학습 촉진을 위한 민관산학 파트너십 구축방안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2006 |
공동 | 평생학습과 노동시장 연구 | 한국노동연구원 | 2005 |
공동 | 정부지원 국내 인턴십 활성화 방안 | 교육인적자원부 | 2005 |
책임 | 현대/기아자동차 교육평가체제 개발 | 현대/기아자동차그룹 | 2004 |
공동 | 『지역인재채용장려제』도입을 위한 지방대생 민간기업 취업현황 파악 연구 | 지역균형발전위원회 | 2004 |
공동 책임 |
YONSEI/CyberMBA ROI 모델 개발 | CyberMBA/삼성화재 | 2003~2004 |
공동 | 학벌주의 종합 대책 연구 | 교육인적자원부 | 2003 |
공동 |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을 위한 사회통합의 전략과 과제 | 한국교육개발원 | 2003 |
공동 | 생애능력형성의 관점에서 본 학교교육과 직업세계 연계체제 현황과 과제 | 한국교육개발원 | 2002 |
책임 | 대학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모형개발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2 |
공동 | 사회학습망 구축방안 | 한국노동연구원 | 2002 |
책임 | 일반대학졸업자의 전문대학 및 기능대학으로의 재입학 실태 분석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1 |
공동 | 평생교육훈련제도의 발전전략: 국가인적자원비전2005 | 교육인적자원부 | 2001 |
책임 | 직업교육체제 발전 방안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1 |
공동 |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효율적 이행방안 연구 |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 2001 |
공동 | 교육인적자원관련 법령정비 기초연구 | 교육인적자원부 | 2001 |
공동 | 청소년아르바이트 실태 및 정책방안 모색 연구 | 문화관광부 | 2001 |
공동 | 전문대학 입학생 감소 문제와 대응 방안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0 – 2001 |
책임 |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II)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0 |
공동 |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 | 교육부 | 2000 |
책임 | 전문대학 창업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 교육부 | 2000 |
공동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한 일과 학습의 연계체제 구축방안 연구 | 교육부 | 1999 – 2000 |
책임 |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I)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9 |
책임 | 시간제 취업이 고등학생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9 |
공동 | 고학력 실업자 구제를 위한 인력개발정책에 대한 한미 비교 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 1998-1999 |
공동 | 평생교육의 21세기장기발전과 비전을 위한 전략모형 연구 | 교육부 | 1998 |
공동 |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8 |
공동 | 대졸실업자 직업교육훈련 정책 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8 |
공동 | 직업교육훈련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8 |
공동 |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8 |
공동 | 사회교육기관간 상호협력방안 연구 | 교육부 | 1997 |
공동 | ’97 공고「2․1체제」운영 안내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997 |
공동 |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연세대학교 | 1997 |
Dubai is home to a variety of escort ladies. You’re sure to meet the right girl for your sexual fantasies, including Brazilian beautiful women to Asian beautiful ladies. Dubai’s gorgeous women are the perfect choice if you want to satisfy the most fervent desires. It is easy to be attracted by these exotic women. They’re the ideal partner for your next night out, no matter if you require an instant fix or a night of sexual pleasure.
Dubai’s escortgirl population is well-dressed and well-spoken. They speak fluent English and are excellent communicators. Also, you’ll find out if they will charge extra for sexual sexual activity or not. You’ll find out whether you will have to pay an extra fee to use this service, but you’ll still enjoy being escort girls in dubai with these lovely women.
Alongside being an excellent companion those who escort you are also a great way to make friends. Escorts in Dubai are also a good example of cleanliness. The price for a session can vary based on whether the worker is white or black. Although a session may cost a lot, Dubai escorts are still capable of providing the best experience. And, of course there’s the chance to interact with many other individuals while in Dubai.